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, 조수빈입니다. <br> <br>정부가 이번 달부터 화이자 백신, 1차 접종 대신 2차 접종에 집중한다고 발표했죠.<br> <br>이건 화이자 백신 아직 한 번도 못 맞은 75세 넘는 어르신들은 당분간 백신을 맞기 어렵게 됐단 뜻인데요. <br> <br>특히 저희 채널에이 취재 결과 부산에선 1차 접종을 이미 예약한 사람까지 못 맞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.<br> <br>기존 예약자는 그대로 접종할 수 있게 하겠다는 말과 다릅니다. <br> <br>접종속도를 올리려다 자꾸만 엇박자가 나고 있습니다.<br> <br>먼저 첫 소식, 황규락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오늘 부산에서 유일하게 문을 열었던 부산진구의 예방접종센터는 오전에만 접종을 진행했습니다. <br> <br>오늘부터 2차 접종에 집중하기 위해 기존 예약 분을 포함한 1차 접종을 중단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부산시 관계자] <br>"기존에 등록(예약)이 돼 있으셨던 분들은 대부분 취소를 해야하는 상황으로…5월 달에 내려오는 물량이 굉장히 적어서…" <br> <br>정부는 어제까지만 해도 신규 1차 접종 예약 접수는 중단하되 기존 예약 분까지는 접종하겠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나 지자체 접종센터의 물량 부족으로 2차 접종을 하려면 기존 예약까지 취소해야 하는 상황이 된 겁니다. <br> <br>[황호평 / 예방접종대응추진단 팀장 (어제)] <br>"기존에 5월까지 잡혀있던 1차 접종에 대해서는 계속 진행을 하고 또 신규 센터가 열리게 되는 경우에도 1차 접종은 계속 이루어질 것입니다." <br> <br>화이자 백신의 접종 예약이 중단된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조차 상반기 나머지 공급 분의 구체적인 도입 시기가 정해지지 않았습니다. <br><br>정부가 백신 물량이 충분하다면서 예방접종센터를 늘리며 백신 속도전을 강조해 왔지만 곳곳에서 수급 불균형이 일어나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여기에 정부의 접종 기준이 1차 접종이 아닌 1, 2차 완전 접종이 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[김우주 / 고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>"접종률을 끌어 올리는 것에 집중하다 보니까…(1차 접종이 아닌) 완전 접종률을 높이는 게 중요한 건데"<br> <br>[김우주 / 고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>"하다보니까 2차 접종을 끌어다 쓰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고 결과적으로 계획이 없지 않았나." <br> <br>정부는 지난달 29일 기준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자가 300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지만 '4월 300만 명'이라는 접종 목표가 오히려 문제를 부른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규락입니다. <br> <br>rocku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현승 <br>영상편집 : 유하영